LH 전세임대주택 종류 알아보기
요즘에는 직장을 구하기도 그리고 돈을 벌어서 내 집 마련하기도 힘들답니다. 부부사이에는 맞벌이를 하면서 아껴야만 내집을 마련하게 되는데요. 그만큼 집값도 비싸고 경기도 안좋아서 돈을 모으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버는 돈 중에 열심히 저축해도 몇 십년이 지나야 집을 마련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LH 주택공사를 통해 제공하는 임대주택, 임대아파트들이 도움이 되는데요. 무주택 저소득층에 대해서 저렴한 임대료로 30년, 20년으로 임대가 가능한 방법도 있습니다. 해당이 되시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홈이라는 홈페이지를 통해서 종류와 연간 공급계획 및 자가진단을 통해서 쉽게 확인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먼저 사이트에 접속을 해주시면 됩니다.
임대주택으로는 건설임대주택, 공공건설, 연간건설, 매입임대주택으로 나뉘게 됩니다.
종류별 공급체를 알아보면 공공, 민간업체, 개인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임대기간은 유형별로 차이가 납니다.
사히적 보호가 필요하신 분과 서민들이 주거안정을 누릴 수 있도록 소득계층별로 다양하게 공급이 되어지고 있습니다.
영구임대주택은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국가유공자, 일군위안부 피해자, 한부모가족 등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건설된 주택이빈다. 임대기간은 50년이며, 면적은 40m²이하입니다.
행복주택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을 ㅟㅇ해서 직장 또는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에 짓는 저렴한 주택입니다.
기간은 30년으로 면적은 45m² 이하입니다.
전세임대 주택은 도심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거주할 수있도록 기존주택에 대해 전세계약 체결 후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전용면적은 85m² 이하입니다. 지원한도는 수도권은 8,500만원, 광역시는 6,500만원, 기타지역은 5,500만원입니다.
매입임대주택은 국가, 지자체, LH, 지방공사가 매매 등으로 소유권을 취득하여 임대합니다. 기간은 10/20/30년이며, 세부유형별 조건이 다릅니다.
국민임대주택은 무주택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국가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건설,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기간은 30년으로 전용 60m²이하입니다.
입주자모집공고를 통해 대학생, 신혼부부, 주거취약계층, 저소득층, 무주택자, 유주택자에 맞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